728x90 반응형 영상 편집 튜토리얼14 14강 브랜드 아이덴티티: 채널 시그니처와 영상 일관성 만들기 여러 가지 편집 기술과 스토리텔링 노하우를 익혔다면, 이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차례이다. 이는 곧 “시청자가 영상을 보자마자 누구 영상인지 알 수 있도록” 통일된 스타일을 갖추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확립되면, 영상 초반 몇 초만 봐도 특정 채널임을 직감하게 되므로, 나만의 개성을 부각하고 시청자 충성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1) 인트로(Intro)·아웃트로(Outro) 통일처음에는 단순히 로고나 타이틀, 채널명 정도를 자막으로 표시하는 수준으로 시작해도 좋다. 매 영상마다 같은 구성을 반복하면, “영상이 시작되었다”와 “영상이 끝났구나”라는 시각적 신호를 시청자에게 전달하게 된다.인트로: 3~5초 정도로 짧고 임팩트 있게, 로고나 문구를 모션 그래픽으로 살짝 움직여주.. 2025. 4. 11. 13강 스토리텔링과 연출 기법 영상의 기술적 완성도가 아무리 높아도, 정작 이야기 구성이 허술하면 시청자들은 중도 이탈하기 쉽다. 때문에 스토리텔링과 연출은 영상 편집의 기술적인 부분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심 요소이다. 특히 영상 초반부에 시청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도입부, 그리고 마지막까지 집중력을 유지시키는 전개와 결말 구성은 콘텐츠의 성공 여부를 크게 좌우한다.스토리텔링과 연출을 도와줄 Storyboard먼저, 시나리오(혹은 콘티) 설계가 중요하다. 영상의 주제나 메시지를 정의하고, 장면 순서를 미리 구상해두면 편집에서 “어느 장면을 어디에 배치해야 할까”를 한결 수월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이로그를 만든다고 해도 무작정 촬영한 클립을 늘어놓기보다, “(도입) 오늘의 목적 → (본론) 활동 장면 모음 → (결말).. 2025. 4. 10. 12강 크로마키(Chroma Key)로 합성 영상 구현하기 (DaVinci Resolve 19의 Edit 탭 활용) 그린 스크린 촬영 영상에서 배경을 투명하게 만들고 원하는 장면과 합성하는 크로마키(Chroma Key) 기법은 뉴스나 예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영상 효과이다. DaVinci Resolve 19를 사용한다면, 이전 버전들과 달리 Color 탭에 진입하지 않고도 Edit 탭에서 간편하게 그린 스크린을 제거할 수 있다. 이번 강의에서는 Edit 탭을 중심으로 크로마키를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먼저, Edit 탭 상단의 Effects 라이브러리를 연다. 이후 Open FX 카테고리에서 ‘Chroma Keyer’(또는 ‘3D Keyer’) 효과를 찾을 수 있다. 이를 그린 스크린으로 촬영된 클립 위로 드래그해 적용하면, Inspector(오른쪽 상단에 있는 클립 설정 창)에 해당 효과가 추가.. 2025. 4. 9. 11강 모션 그래픽과 간단한 애니메이션 기법 색을 다루는 일이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면, 이번에는 모션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기법을 살펴보자. 간단한 텍스트나 로고를 움직이기만 해도 영상이 훨씬 다채로워지고, 콘텐츠 특유의 개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시작은 아주 작은 움직임에서부터, 나중에는 로고 애니메이션이나 그래픽 요소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작업까지 확장 가능하다.DaVinci Resolve에서는 Edit 탭 또는 Fusion 탭을 활용해 모션 그래픽을 제작할 수 있다. 우선 Edit 탭에서 기본 텍스트나 이미지를 올리고, Inspector 패널에서 위치(Position), 크기(Zoom), 회전(Rotation) 같은 값을 시간에 따라 변하게 만들어보자. 이를 위해 키프레임(Keyframe)을 찍어두면, 해당 시점에서의 수치가 자동으로 변동해 애.. 2025. 4. 8. 10강 컬러 그레이딩과 LUT로 시네마틱 무드 연출하기 화면 톤을 균일하게 맞춘 뒤에는, **컬러 그레이딩(Color Grading)**을 통해 영상 전체의 ‘무드’를 조정해볼 수 있다. 이 과정을 단순히 색보정보다 한 단계 더 고급스러운 작업으로 보는 이유는, 영상의 분위기나 개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색감을 바꾸기 때문이다. 따뜻하거나 차가운 톤, 레트로풍, 영화 같은 시네마틱 룩 등 원하는 이미지에 맞춰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DaVinci Resolve의 Color 탭에서 노드(Node) 기반으로 여러 조정을 쌓아가며 그레이딩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 색보정을 끝낸 후, 별도의 노드를 하나 더 만들고, 채도(Saturation)나 색온도(Temperature), 미드톤(중간 영역)의 컬러를 살짝 바꿔가며 스타일을 구사해보자. 이때 스코프(Sco.. 2025. 4. 7. 9강 색보정으로 영상 톤을 균일하게 맞추기 전환 효과와 음향을 통해 영상 흐름과 분위기를 잡았다면, 이제 **색보정(Color Correction)**을 통해 각 장면의 톤을 균일하게 맞출 차례이다. 화이트 밸런스와 노출값이 들쭉날쭉한 상태로 여러 클립을 이어 붙이면, 전체 영상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색보정은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만들고, 시청자가 장면에 자연스럽게 몰입하도록 돕는 중요한 편집 과정이다.DaVinci Resolve에서는 Color 탭이 색보정 작업의 중심이 된다. 여기서 크게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노출(Exposure), 대비(Contrast), 채도(Saturation)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에서 촬영한 장면이 누렇거나, 야외에서 찍은 영상이 푸르스름하게 보인다면,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해.. 2025. 4. 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